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연금 납입기간, 기관 부담금 종류, 최대 납입 기간 자세히 알아보세요

 

공무원연금 납입기간 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공무원연금 은 공무원으로서의 경력과 기여를 기반으로 하는 중요한 제도인데요, 정확한 납입 기간과 기여금 비율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공무원연금 납입기간 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공무원연금 납입기간의 기본 개요

최소 및 최대 납입 기간

공무원연금 납입기간 은 최소 10년부터 시작됩니다. 즉,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연금을 수령하려면 최소 10년 이상의 기여금 납입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최대 납입 기간은 33년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2015년 12월 31일 기준 재직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기여금 납부 기간이 36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여금 납부가 종료되고, 급여 산정 시에도 36년까지만 인정됩니다. 단, 2016년 1월 1일 기준으로 재직 기간이 21년 이상인 경우 최대 33년까지만 인정된다는 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납입 기간

설명

최소 납입 기간

10년

최대 납입 기간

33년 (단, 36년을 초과할 경우 기여금 납부 종료)

 

공무원연금 납입금액

용어 정의

공무원연금 납입금액에는 두 가지 주요 항목이 있습니다. 첫째는 개인(공무원)이 납부하는 '기여금'이고, 둘째는 기관이 납부하는 '부담금'입니다.

  • 기여금 : 공무원 월급의 9%를 매월 원천징수하여 납부합니다.
  • 부담금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연 4기로 나누어 납부하며 비율은 9%입니다.

 

개인 기여금

2022년 기준으로 현재 재직 중인 공무원은 매월 소득의 9%를 기여금으로 납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8%였으나 공무원연금 법 개정으로 현재 비율로 조정되었습니다. 기여금은 매월 납입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기관의 예산 부족 등으로 월급이 지급되지 않거나 군 복무로 인한 휴직 시에는 소급 납부가 가능합니다. 소급 납부는 전체 또는 일부 개월에 대해 매월 납부하거나 일시 납부 형태로 가능하며, 일시 납부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기여금 소급 납부는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에서 '휴직자 기여금 조회'를 통해 가상계좌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기관 부담금

기관 부담금은 다음 네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 연금 부담금 : 퇴직급여, 유족급여 등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 보전금 : 기여금 및 연금 부담금으로 충당할 수 없는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 퇴직수당 부담금 : 퇴직수당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 재해보상 부담금 : 공무상 요양비, 공무상 요양 일시금, 재해부조금 등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기관 부담금 비율은 2016년부터 점진적으로 9%로 증가하였습니다.

부담금 종류

설명

연금 부담금

퇴직급여, 유족급여 등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보전금

기여금 및 연금 부담금으로 충당할 수 없는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퇴직수당 부담금

퇴직수당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재해보상 부담금

공무상 요양비, 공무상 요양 일시금, 재해부조금 등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공무원연금 납입기간 과 기여금, 부담금에 대한 이해는 공무원 연금 제도를 잘 활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최소 10년에서 최대 33년까지의 납입기간 과 기여금 비율을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소급 납부를 활용해 보세요. 공무원연금 공단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시고, 자신의 연금 상황을 꼼꼼히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소 및 최대 납입 기간

납입 기간

설명

최소 납입 기간

10년

최대 납입 기간

33년 (단, 36년을 초과할 경우 기여금 납부 종료)

 

공무원연금 납입금액

기여금 및 부담금

항목

설명

비율

기여금

공무원 월급의 9%를 매월 원천징수하여 납부

9%

부담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연 4기로 나누어 납부

9%

 

개인 기여금

항목

설명

현재 기여금 비율

9% (2022년 기준)

과거 기여금 비율

8%

소급 납부 가능 여부

월급 지급 부족 시 또는 군 복무로 인한 휴직 시 가능

소급 납부 방법

매월 납부 또는 일시 납부 가능, 일시 납부가 유리할 수 있음

 

기관 부담금

부담금 종류

설명

연금 부담금

퇴직급여, 유족급여 등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보전금

기여금 및 연금 부담금으로 충당할 수 없는 연금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퇴직수당 부담금

퇴직수당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재해보상 부담금

공무상 요양비, 공무상 요양 일시금, 재해부조금 등 지급에 소요되는 비용

 

기관 부담금 비율

연도

비율

2016년부터 현재까지

9%

 

댓글